top of page

Life of Henry C. DeYoung

​정한경의 생애

1905 - 1910s

In 1905, at 14 years old, Henry Chung (later Henry C. DeYoung)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alone from Korea. He arrived without money or English skills and was welcomed by renowned Korean independence leader Dosan Ahn Chang Ho, who saw in him immense potential. Initially homesick and planning to return to Korea, DeYoung was persuaded by Ahn to stay and support the independence cause.

1905년에 14세의 나이로 홀로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민을 왔다. 무일푼에 영어도 할 줄 몰랐으나, 그의 잠재력을 알아본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의 환영을 받으며 초기 미국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당시에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한국으로 돌아가려 하였으나, 안창호의 권유로 미국에 남아 독립운동에 헌신하게 되었다.

Settled in Kearney, Nebraska, and was fostered by the George Roby family. He quickly adapted and thrived academically, becoming valedictorian of his high school. He earned his B.A. and M.A. from the University of Nebraska, and later a PhD in International Law from American University in Washington, D.C. He and Syngman Rhee were the first Koreans to receive PhDs in the United States (Rhee from Princeton University)

In the 1910s, he earned his Certified Public Accountant (CPA) credential, recognizing that financial and organizational skills would support his activism and diplomatic work.

He helped establish the Korean Military Academy in Hastings, Nebraska, training young Korean men in the U.S. to prepare for the independence struggle against Japan.

네브래스카주 커니(Kearney)로 이주 후에 조지 로비(George Roby) 가족의 보살핌 아래 성장하였다. 그는 고등학교 수석 졸업 후 네브래스카 대학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 취득하였으며, 이후 워싱턴 D.C.의 아메리칸 대학교(American University)에서 국제법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이승만(프린스턴 대학)과 함께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최초의 한국인 중 한 명이다. 1920년대에 공인회계사(CPA) 자격을 취득하였으며 이는 독립운동과 외교 업무에 필요한 재정 및 조직 능력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그는 미국 네브래스카 헤이스팅스(Hastings)에 한국 군사학교 설립하여 일본에 맞서 싸울 독립운동 인재들을 훈련시켰다.

1910s - 1940s

Worked behind the scenes with virtually every major Korean independence leader, including Ahn Chang Ho, Syngman Rhee, and Philip Jaisohn (So Jaipil).

  • Designated Emissary and Spokesperson to the U.S. President on behalf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by Ahn Chang Ho, 1/11/1919

  • Appointed Korean Commissioner to the U.S. by Syngman Rhee, 7/19/1943

  • Served as contributing editor to The Korean Review, one of the earliest Korean-English journals advocating for Korean independence.

도산 안창호, 이승만, 서재필(Philip Jaisohn) 등과 함께 독립운동의 전략가로 활동을 하면서 1919년 1월 11일, 안창호의 위임으로 미 대통령에게 보내는 한국 민족 대표단의 대변인으로 임명되었다.
1943년 7월 19일, 이승만의 임명으로 주미 한국 대표로 활동하였으며, 초창기 한영 신문인 <The Korean Review>의 기고자로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In 1919, he was appointed, along with Syngman Rhee and Kim Kyu-Sik, as a Korean delegate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in Versailles following World War I. The U.S. government, under pressure from Japan, blocked their attendance, fearing a challenge to Japanese colonial authority over Korea.

He participated in and headlined events related to the Philadelphia Movement—a major Korean-American campaign for independence.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파리 만국 평화회의의 한국 대표로 이승만, 김규식과 함께 임명되었으나, 당시 일본의 식민 통치에 위협이 될 것이 두려웠던 일본 정부의 강력한 반발로 미국 정부는 이들의 참석을 저지하게 되었다.
한미 연합 독립운동의 중요한 필라델피아 독립운동(Phiadelphia Movement)에 주요 인물로 활동하였다.

During the 1920s - 1940s, he traveled the U.S. tirelessly, speaking at rallies, publishing writings, organizing events, and acting as a quiet but powerful force advocating for Korea’s sovereignty.

When Korea gained her independence and became a free and autonomous nation, Henry DeYoung helped draft and write the constitution for the ROK.

1920년에서 1940년대 사이에 그는 미국 전역을 순회하며 연설, 글쓰기, 행사 기획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조국의 독립을 위한 여론을 조성하였다.

대한민국이 독립을 이루고 자유롭고 자주적인 국가가 되었을 때, 헨리 디영은 대한민국 헌법 초안 작성에 참여하고 기초 작업에 기여하였다.

Post–Korean War (1950s)

After the Korean War, President Syngman Rhee appointed DeYoung as Korea's first Ambassador to Japan to participate i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Allied powers as Korea’s postwar future was being shaped. DeYoung held key conversations with military and political figures, including General Douglas MacArthur, and sent daily detailed reports and telegrams to Rhee. These are part of his meticulously maintained archive.

Over 75 years, DeYoung documented every step of his journey and the broader movement through thousands of photographs, documents, and correspondences, now known as the Henry C. DeYoung Archive.

한국 전쟁 이후, 이승만 대통령의 임명으로 대한민국 초대 주일대사로 임명되어 전후 한국의 미래를 위한 일본과의 외교 교섭을 수행였다.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을 포함한 주요 군사, 정치 인사들과의 회담 진행하였으며, 해당 외교 활동에 대한 상세한 일일 보고서 및 전문을 이승만 대통령에게 전달하였다. 이는 현재 그의 아카이브에 포함되어 있다. 75년 넘는 시간동안 동안 한국 독립 운동에 대한 수천 장의 사진, 문서, 서신을 기록하고 남겼으며, 이는 현재 ‘헨리 C. 디영 아카이브’로 USC에서 디지털로 보존 중이다.

Death and Afterlife

  • Henry C. DeYoung died at the age of 95, having preserved a lifetime of contributions to both Korean and American history.

  • His archived collection—documenting 75 years of Korean independence efforts and Korean-American experiences—was digitized by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SC).

  • The original hard-copy archive remains under the care and copyright ownership of Lee DeYoung, Henry DeYoung's youngest son.

  • No reproduction of the digital or original materials is permitted without written consent from USC or Lee DeYoung.

  • 헨리 C. 디영은 평생 동안 기여한 업적들을 한국과 미국 역사에 남기고 9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 그가 남긴 아카이브 자료는 75년에 걸친 한국 독립운동과 한인 이민자들의 경험을 기록한 것으로, 남캘리포니아대학교(USC)에 의해 디지털화되었습니다. 이 자료들은 온라인에서 열람이 가능합니다. digitallibrary.usc.edu

  • 원본은 헨리 디영의 막내아들인 리 디영(Lee DeYoung) 씨가 보관 및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 USC 또는 리 디영의 동의 없이는 디지털 자료 및 원본 자료의 복제나 사용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Lee DeYoung's Personal Reflection on his Father​​

- "Despite his professional success, Henry DeYoung often felt alienated and like an outsider in America. His story, described by journalist K.W. Lee in “The Lonesome Journey,” (Koream Journal October 2005) reflects the pain and perseverance of the Korean-American experience in the 20th century."

리 디영(Lee DeYoung)의 회고

"아버지는 전문가로서 많은 성취를 이루었지만, 종종 미국 사회에서 소외감을 느꼈습니다. 그의 삶은 20세기 재미한인의 고독과 끈질긴 투쟁을 보여주는 이야기입니다."
– K.W. Lee의 기사 「The Lonesome Journey」 (Koream Journal, 2005년 10월호) 인용

Major Works

  • Played instrumental roles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cluding policy development, public organizing, diplomacy, and military training.

  • Advisor and emissary to Ahn Chang Ho and Syngman Rhee.

  • Helped form U.S.-based Korean institutions, such as the military academy in Hastings, Nebraska.

  • Active editor and essayist for The Korean Review, contributing editor to Philip Jaisohn's newspaper Tongnip sinmun.

  • Advocate and speaker for Korean causes across the United States.

  • 한인 독립운동의 핵심 정책, 주요 행사, 외교, 군사 교육 등을 수행하면서 핵심적 역할을 하였다.
     

  • 안창호, 이승만의 자문역 및 특사로 활동하였다.
     

  • 헤이스팅스의 한국 군사학교 등 재미 한인 기관 설립 참여하였다.
     

  • <The Korean Review>의 편집 및 기고자, 서재필의 <독립신문> 등에 편집 및 기고자로 활약하였다.
     

  • 미국 전역에서 한인 독립운동의 목소리를 전하였다.

Published Books and Articles

Under the pen name Henry Chung, he published five books that became foundational texts on Korean history and geopolitics.

헨리 청(Henry Chung)이라는 필명으로 그는 한국 역사와 지정학에 있어 기초가 되는 다섯 권의 저서를 출간했습니다.

  • Korean Treaties (1919)

  • The Oriental Policy of the United States (1919) 

  • The Case of Korea (1921)

  • The Russians Came to Korea (1947)

  •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War and Peace 1943-1960 (2000 Published posthumously after his death by Yonsei University Press.)  Original title was "The Americans came to Korea" 

  • 《조선 조약집》(1919)

  • 《미국의 동양 정책》(1919)

  • 《한국의 상황》(1921)

  • 《러시아인이 조선에 왔다》(1947)

  • 《전쟁과 평화를 통해 본 한미 관계 1943–1960》 (2000, 연세대학교 출판부에서 사후 출간. 원제: "The Americans Came to Korea")

Family

He raised a family in the U.S., and his children and grandchildren went on to become respected professionals in science, academics, linguistics, medicine, the arts, and athletics.

미국에서 가정을 이루고, 자녀들과 손주들은 과학, 학문, 언어학, 의학, 예술,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로 성장하였다.

Children of Henry C. DeYoung

  • Dr. Edwin L. DeYoung
    Geochemist. Director chemical patents for Standard Oil of Illinois. Professor of chemistry at Harold Washington University, Chicago, IL 

  • Frances DeYoung
    Professor of linguistics, German, Italian, and English. Middlebury College (Vermont), University of Utah, and Skyline College (California).

  • Henry (Hank) DeYoung
    Artist. Attended Denver University. Died of pancreatic cancer at age 24.

  • Dr. David DeYoung
    Astronomer and theoretical astrophysicist. Associate Director at Kitt Peak National Observatory in Tucson, AZ. Served as President of the Aspen Center for Physics and founding member of the Virtual Observatory serving as the chief project scientist and first acting president.  Author of "The Physics of Extragalactic Radio Sourc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https://baas.aas.org/pub/david-s-de-young-1940- 2011/release/1

  • Lee DeYoung
    Tennis professional. Founder of TATP, owner of multiple U.S. utility patents in tennis. Head clinician and spokesperson for Wilson Sporting Goods Tennis.

      tennislegendslegacy.com

 

Grandchildren of Henry C. DeYoung

  • Dr. Lynn DeYoung, MD, PhD
    Family physician in Tucson, Arizona.

  • Christopher DeYoung
    Principal communications network analyst at the University of Arizona.

자녀

  • Dr. Edwin L. DeYoung: 지질화학자, 석유화학 특허 전문가, 시카고 소재 대학 교수

  • Frances DeYoung: 언어학, 독일어, 이탈리아어, 영어 교수

  • Henry (Hank) DeYoung: 예술가. 덴버 대학교 재학 중 췌장암으로 별세

  • Dr. David DeYoung: 천문학자. 키트피크 천문대 부소장, 아스펜 물리센터 회장 역임

  • Lee DeYoung: 테니스 전문가, Wilson Sporting Goods 임상 교사 및 특허권자

​       tennislegendslegacy.com

손주

  • Dr. Lynn DeYoung, MD, PhD: 미국 애리조나주 가정의학 전문의

  • Christopher DeYoung: 애리조나 대학교 통신 네트워크 분석가

bottom of page